반응형

kubectl 명령어 정리 배경

  • 자주 쓰는 것들을 정리해둔 내용인데, 혹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까봐 올려둔다.
  • 개인적인 팁은 kubectl 을 k 라는 alias 로 설정해서 쓰면 편하다
  • 쿠버네티스 리소스 관리 유틸리티인 k9s 를 쓰면 더 편리 할 수 있다. (  URL - https://k9scli.io/ )

 

 

kubectl 명령어 모음

# 네임스페이스 생성
$ kubectl create namespace argocd

# 네임스페이스 를 지정하여 yaml 적용하기
$ kubectl apply -n argocd -f argo-cd.yaml



# 포트 포워드 터널링
$ kubectl port-forward svc/서비스이름 [로컬 포트 : 서비스 포트]

$ kubectl port-forward svc/argocd-server -n argocd 8080:80
$ kubectl port-forward --namespace=ingress-nginx service/ingress-nginx-controller 8080:80


# 이벤트 및 파드 로깅
$kubectl get events

$kubectl get ing

$kubectl get svc,pod,ing


# 애플리케이션 로깅
$ kubectl logs -n [네임스페이스] deployment.apps/파드이름
$ kubectl logs -n airflow deployment.apps/airflow-webserver

# 서비스 어카운트 정보 
$ kubectl get sa
$ kubectl get sa -n kube-system
$ kubectl describe sa [] -n []


# yaml 형식으로 출력하기
$kubectl get sa ebs-csi-controller-sa -n kube-system -o yaml >> sa.yaml

$ kubectl get po -A
# A 옵션을 주면 네임스페이스 전체에 있는 파드가 다 뜬다.


# 파드 서비스 진입
$ kubectl exec [파드이름] /bin/sh
$ kubectl exec [파드이름] -it -- bash
# ssh 진입
$ kubectl exec bdp-web-7849b96cf5-2xzlq -n airflow -it -- bash


# watch를 이용한 모니터링
$ watch -d kubectl get deploy, svc, pods

 

 

kubectl alias 설정

$echo "alias k='/home/ec2-user/bin/kubectl'" >> ~/.bash_profile

$ source ~/.bash_profile
반응형

+ Recent posts